전체 글
-
[docker]Jenkins 설치Devops/Jenkins 2019. 11. 4. 07:45
젠킨스를 반복적으로 설치해야하는 상황에 마주쳤다. 배치용으로도... CI 용으로도 다수의 젠킨스를 설정 해야하다보니 일일히 기존 서버 인스턴스에 하나하나 한땀한땀 설치하는것이 굉장히 귀찮아 졌다. 그리고 배치 서비스를 만들다 보니 젠킨스가 추가 될수도 있는 상황이라 동일 환경으로 구성해야만 했다. 이런경우에는 역시 docker 로 ! 아래는 젠킨스 설정을 위해사용했던 dockerfine 과 커맨드를 기록해 놓았다. Dockerfile 생성 #### Dockerfile ```properties FROM jenkins/jenkins:jdk11 MAINTAINER imisv2 msgwon@iparking.co.kr USER root RUN curl -fsSL https://get.docker.com -o ge..
-
Docker-compose 사용법 - 기초Devops/Docker 2019. 11. 1. 09:21
Docker-compose 는 써보고 신세계란걸 느꼈다. dockerfile 만 쓸땐 몰랐던 ... 와 이런것도 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로컬에 mysql 을 띄우고 빠르게 개발을 할땐 엄지를 척! 하고 올릴만한 기능인거 같다. 도커를 제대로 쓰려면 compose 는 기본이군! 이라고 말하고 싶다. 아직 사용하는데 많이 공부를 해야겠지만 일단 손에만 익숙해지면 어지간한 구성은 손쉽게 만들수 있을거 같다. version: '2' services: cabin_db: image: mysql:latest volumes: - "./.mysql-data/db:/var/lib/mysql" restart: always ports: - 13306:13306 environment: MYSQL_ROOT_PASS..
-
DockerfileDevops/Docker 2019. 11. 1. 09:12
docker 를 쓰기 시작했다면 dockerfile을 사용할수 밖에 없다. 도커 이미지를 만들때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dokcerhub 에 가봐도 dockfile 을 제공을 해준다. 개인적으로 설정이 귀찮거나 반복되는것들은 dockerfile 를 받아서 약간의 수정을하여 별도 관리를한다. 많이 쓰는 도커 파일 중 mysql 파일 하나를 샘플로 기록해놓으려고한다. 개발할때 AWS 에서 인스턴스를 받고 설정하고 하는 과정이 굉장히 긴경우가 많다. 결재도 올려야하고 방화벽도 확인해야하고.... Mac 을 쓴다면 도커를 좀더 편하게 쓰겠지만 난 Windows 유저이기 때문에 일단 Docker for Windows 를 사용하고 있다. FROM debian:stretch-slim # add our user and..
-
Docker 명령어Devops/Docker 2019. 11. 1. 08:57
요즘 자주 쓰는 도커 명령어 들을 정리 하고자 한다. 쓸때마다 자꾸 검색하는거보면 머리가 많이 굳긴 했나 보다. - 설치 :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가 됨. curl -s https://get.docker.com/ | sudo sh - 도커 그룹추가 $ cat /etc/group $ sudo usermod -aG docker $USER $ sudo service docker restart -도커 이미지 빌드 sudo docker build --tag test:0.0.1 ./ - 도커 컨테이너 명령어 - Docker 컨테이너 중지 sudo docker stop [id] - Docker 컨테이너 시작 sudo docker start [id] - Docker 컨테이너 삭제 sudo docker rm [id] - ..
-
Spring boot Database 다중 연결 ( feat.Jooq )Spring/Spring Boot 2019. 10. 28. 09:12
이전에 블로그에 spring boot 로 여러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걸 작성한적이 있다. 어떤 서버든 개인적으로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만 접근해서 사용하는게 좋다고 생각하지만 ( MSA 스럽지 못하다! ) 어쩔수 없이 여러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가져와야 하는경우가 생긴다. 가령 이곳저곳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라면.... API 로 제공 받아서 연동하는게 가장 best 한 case 가 되겠지만 지금 상황(?) 상 api 를 제공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직접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야만 하는 상황이 생겼다. 이전 글( https://ellune.tistory.com/4?category=769021) 에서 여러개를 설정하는 방법을 찾았지만 문제가 생겼다. 1. 이전글에서는 mybatis 를 사용 하고 있다. 하..
-
Elaticsearch 시작NoSql/Elasticsearch 2019. 9. 19. 10:14
시작하자 ! ...... 그전에 먼저... 일단 가볍게 도커로 Elaticsearch 를 설치 하였다. 도커의 위대함(?) 을 느낀건 생각보다 아주 손쉽게 사용이 가능했다 이미지를 받아서 사용하면 끝!! ( docker composer 를 사용하였기때문에 설정도 쉬월했다. ) 서비스가 제대로 실행되고 Elaticsearch API 가 잘 동작하는것도 확인했다. 이제 사용에 앞서서 개인적으로 먼저 확인 해야할거 같다고 생각이 든건 딱 세가지였다. 1. document 구성은 어떻게 짜야 하는것인가 ? 2. 내가 너무 RDBMS 스럽게 생각하여 Elaticsearch 스럽지 못하게 오해하고있는 개념은 없는가? 3. 시행착오를 겪는 부분은 대체로 어디인가 ? 바로 구글링을 시작했고 역시나 우려했던 부분 몇가지..
-
Elastic SearchNoSql/Elasticsearch 2019. 9. 4. 12:11
- Elastic Search 회사 내에서 사용할 일이 생겨서 급하게 R&D 를 시작했다. ELK(Elasticsearch, Kibana, Logstash, Beats 을 합쳐서 통칭함) 에 대한 기본 상식이 없으며 Elastic Search 는 써본적도 없는 상태에서 실제 상용서비스를 구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일단 구글링을 하면 대부분 Elastic Search 를 쓰기전에 ELK 스택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데이터 과학, 흔히 data science 라고 불리는 부분부터 설명을 시작한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어떤 데이터든 수집하고 빠르게 검색하여 보기 좋게 만들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ELK 스택을 마스터 할경우 어떤 빅데이터라도 쉽게 개발할수 있다고 한다. 보통 Elastic Search 를 ..
-
Spring boot vs Spring FrameworkSpring/Spring Boot 2019. 8. 7. 08:01
현재 대다수의 기업에서는 spring boot 를 많이 사용 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spring framework 는 학원이나 기존 회사의 레거시 시스템 혹은 학교에서 많이 사용 되는것으로 알고 있다. 그럼 둘사의 차이가 무엇인지 남기고자 한다. Spring framework 보다 간단해진 설정 난 2.5 버전부터 사용했었고 현재는 5.0 버전이 나와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가장 대표적인 단점은 xml 지옥이다. 모든 설정은 xml 로 사용 했고 실제로 applicationContext.xml 이외에 mybatis, log4j , 프로필별 xml 등 설정을 위한 작업이 대다수였고, 노하우가 없는 사람은 최대 설정만 반나절, 심한경우는 하루 종일 하는 경우도 보았다. 그래서 스프링은 어렵다라는 인식..